광고
광고
로고

최신 연구에서 성인 신경외과 환자의 목표 지향적 수액 요법을 가이드하는 수액 반응성 지표로서 Masimo PVi® 사용 평가

이규진 | 기사입력 2023/03/07 [16:40]

최신 연구에서 성인 신경외과 환자의 목표 지향적 수액 요법을 가이드하는 수액 반응성 지표로서 Masimo PVi® 사용 평가

이규진 | 입력 : 2023/03/07 [16:40]

마시모(NASDAQ: MASI)는 오늘 영국 신경외과 저널에 게재된 전향적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이 연구에서 안키타 데이(Ankita Dey) 박사와 인도 바틴다 및 폰디체리에 있는 연구소의 동료들은 신경외과 수술 중 수액 투여 가이드를 위한 목표 지향적 수액 요법(GDFT)의 하나로 비침습적 연속 Masimo PVi®의 사용을 평가했다. 이는 침습적으로 얻은 매개변수인 일회박출변이(Stroke Volume Variation, SVV)와 비교함으로써 PVi를 이러한 수술 시나리오에서 평가하는 첫 번째 연구이다. 연구진은 “PVi와 SVV는 천막상 뇌종양에 대한 선택적 개두술이 예정된 성인 신경외과 환자의 수술 중 목표 지향적 수액 요법을 가이드하는 데 있어 동등하게 효과를 보인다. 그러나 비침습적 매개변수인 PVi가 더 선호될 수 있다”고 결론지었다.[1]

특히 신경외과 환자에 대한 GDFT의 가치는 인정하지만, SVV와 같이 전통적으로 GDFT 가이드에 사용되는 대부분의 동적 매개변수는 침습적이어서 다양한 합병증과 관련이 있는 동맥 내 카테터(동맥 라인 즉, “A-라인”)를 사용해야 한다. 따라서 연구자들은 광전용적맥파 측정 파형(photoplethysmographic waveform)에서 측정값을 도출하는 비침습적 매개변수인 PVi가 그러한 모집단에서 수액 반응성의 신뢰할 수 있는 예측 변수 역할을 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고자 했다. PVi 즉, 혈량 가변성 지수(pleth variability index)는 호흡 주기에 따른 관류 지수 변화의 측정치이며, 기계적 환기를 받는 성인 환자의 선별된 모집단에서 수액 반응성의 비침습적 동적 지표로 표시된다.

연구자들은 가설을 테스트하기 위해 선택적 개두술을 받는 60명의 성인 환자를 무작위로 두 그룹으로 나누었다. 한 그룹은 수술 중 수액 투여가 PVi(n=29)에 의해 가이드 되고, 다른 그룹은 SVV(n=31)에 의해 가이드 되었다. PVi 그룹에서 환자는 Masimo Radical-7® Pulse CO-Oximeters®와 비침습성 맥박 산소 측정 핑거팁 센서를 사용하여 모니터링되었다. SVV 그룹에서 SVV는 요골 동맥 삽관에 연결된 에드워즈 라이프사이언스 비질레오/플로트랙(Edwards Lifesciences Vigileo/FloTrac) 장치를 사용하여 침습적으로 측정되었다. 연구자들은 수술 중 투여된 정맥 수액의 총량과 사전 결정된 시점에서 혈청 젖산 및 혈청 크레아티닌 수준, 경막 개폐 시 뇌 이완 점수, PVi와 SVV 값 간의 상관관계를 비교했다. 또한 연구자들은 기계적 환기 시간과 입원 기간을 비교했다.

아래 표에서 알 수 있듯이 연구자들은 수술 중 투여되는 수액의 양이 SVV 그룹에서 훨씬 더 많다는 것을 발견했다. 혈청 젖산, 혈청 크레아티닌, 뇌 이완 점수, 기계적 환기 시간, 입원 기간 등 측정된 다른 매개변수와 결과는 아래 언급했듯이 두 그룹 간에 비슷했다. 또한 연구자들이 관찰한 바에 따르면 “수술 기간 중 해당 시점에는 SVV와 PVi 사이에 보통에서 강함까지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이는 맥박 산소 측정 파형에서 비침습적으로 도출된 PVi가 수액 반응성의 신뢰할 수 있는 지표임을 시사한다.”

연구자들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PVi와 SVV가 천막상 뇌종양에 대한 선택적 개두술이 예정된 성인 신경외과 환자의 수술 중 목표 지향적 수액 요법을 가이드하는 데 있어 동등하게 효과적이지만, 비침습적 매개변수인 PVi가 더 선호될 수 있다”고 결론을 내렸다. 또한 연구자들은 “연구에서 두 그룹은 수술 중과 수술 후 사전에 정해진 시점에서 측정된 혈청 크레아티닌과 혈청 젖산에 있어서 비슷했다. 두 그룹은 또한 경막 개방 및 경막 폐쇄에서 뇌 이완 점수도 유사했다. 수술 중 해당 시점에서 SVV와 PVi 사이에는 보통에서 강함까지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기계적 환기 시간과 입원 기간도 두 그룹 간에 비슷했다”고 밝혔다.

마시모의 창립자이자 최고경영자인 조 키아니(Joe Kiani)는 “우리는 2007년에 PVi를 도입했다. 이는 침습적 방법 비용의 일부만으로 환자에 대한 침습적 시술의 위험 없이 기계적 환기 환자의 수액 반응성을 측정하는 최초이자 여전히 유일한 비침습적 방법이다. 그 이후로 100건이 넘는 연구에서 PVi를 사용하거나 PVi를 당사의 비침습적 헤모글로빈 기술인 SpHb®와 결합하여 환자 치료에 엄청난 기여를 했음을 보였다.[2] 이번 최신 연구는 임상의가 PVi를 사용하여 침습적 카테터 없이도 환자의 수액 수준을 관리할 수 있다는 증거를 추가했다”고 말했다.

미국에서 PVi는 기계적 환기를 받는 성인 환자의 선별된 모집단에서 수액 반응성의 비침습적 동적 지표로 FDA 510(k) 승인을 받았다. 수액 반응성 예측에 있어 PVi의 정확도는 가변적이며 수많은 환자, 시술 및 장치와 관련된 요인의 영향을 받다. PVi는 혈량 측정 진폭의 변화를 측정하지만, 박출량이나 심박출량 측정치는 제공하지 않는다. 수액 관리 의사결정은 환자 상태의 완전한 평가를 기반으로 해야 하며 PVi만을 기준으로 해서는 안 된다.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
광고
광고